평판재하시험(KS F 2444기준)
평판재하시험은 지반에 설치한 재하판의 하중과 침하량의 관계로부터 지반반력계수나 극한지지력 또는 지반의 변형 및 가상 구조물의 침하량을 예측하여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시험방법
1) 예상 기초바닥의 지층저면이 암반일 경우 소량의 사질토(모래등)을 깔고 재하판을 설치한다.
2) 초기의 즉시 침하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소량(설계하중의 15%가량)의 하중을 가한후 감압한다.
3) 설계하중의 300%를 6단계이상으로 나누어 재하한다.
4) 각 하중별 침하량을 기록한다.
시험종료시점
1) 시험 하중이 허용하중의 3배이상되었을 때
2) 재하판 지름의 10%를 초과하는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3) 현장에서 항복점을 넘었을때
분석법
1) 항복하중의 결정
- logP-logS 곡선법
- P-S 곡선법
2)극한하중의 결정
- 하중의 증가없이 침하량이 계속 발생되는 지점
- 재하판 지름의 10%를 초과하는 침하가 발생되는 지점
- 평판재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