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재하시험(ASTM D 3966기준)
수평재하시험은 자유두부인 조건으로 시행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말뚝의 실제 수평거동은 말뚝의 강성, 말뚝의 폭, 재하높이, 말뚝머리 고정조건, 지반조건 그리고 하중특성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수평재하시험 조건 설정시 고려하여야 한다.또한 일반적인 수평재하시험의 목적은 수평하중의 항복하중 및 극한하중을 구하는 것보다는 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지반정수, 수평거동등을 얻기 위한 것이다.
수평재하시험의 종류
1) 사하중(또는 주변구조물)을 반력으로 이용하는 방법
2) 두 개의 말뚝을 서로 반력으로 사용하는 방법
시험방법
1)표준재하방법
2)반복하중재하법
3)파동식재하법
4)역재하법
5)교번재하법
분석법
일반적인 시험결과의 분석은 극한하중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 하중-변위량 곡선에 일반적인 침하량 기준 15mm(도로교표준시방서,1996)을 적용하여 허용지지력을 구한다. 수평재하시험의 올바른 이용을 위해서는 수평재하시험의 결과로부터 필요한 지반정수(지반반력계수등)를 도출하여 수평말뚝에 대한 해석을 실시하되 이때의 해석조건은 말뚝의 실제하중조건(단말뚝 혹은 군말뚝, 말뚝머리 자유 또는 구속조건, 상재하중재하 등)과 일치시켜야 한다.
- 수평재하시험
- 수평재하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