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발재하시험(ASTM D 3689 기준)
인발재하시험은 수직이나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단말뚝 또는 군말뚝의 정적 인발저항력을 측정하지 위한 것이다. 인발재하시험은 말뚝 설계시 풍하중 또는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인발저항력 산정에도 중요하지만 압축재하시험 결과의 보완, 주면마찰력 크기의 규명등을 위해서도 효과적이다. 또한 말뚝의 부주면 마찰력의 예상을 위해서도 인발재하시험이 활용될 수 있다.
시험방법
1) 표준재하 방법
2) 급속재하 방법
3) 반복하중재하 방법
4) 일정시간간격 재하법
5) 일정변위율 재하법
분석방법
인발재하시험 결과를 해석하는데 범용으로 적용되는 방버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험으로 극한하중이 결정되었을 경우는 허용 인발력을 구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극한하중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는 적절할 방법을 이용하여 허용인발력을 구해야 한다. 허용인발력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정적압축재하시험의 분석에서 적용하는 항복하중 판정법이나 Fuller(1983)가 제안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Fuller의 방법은 재하시험결과로부터 얻은 하중-변위량 곡선이 offset line과 만나는 점을 파괴하중으로 결정한다. 말뚝의 허용인발력은 말뚝의 극한인발력을 안전율로 나눈 후 말뚝의 유효중량을 더한 값으로 구하되, 이것은 말뚝의 재료허용인장하중보다도 작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말뚝의 유효중량은 무시한다.
- 인발재하시험
- 인발재하시험